바람계곡의 나우시카 미야자키 하야오의 작품으로 1984년 제작된 애니메이션입니다.
이 애니메이션은 천공의성 라퓨타와 미래소년 코난과 비슷한 자연에 대한 사상으로 만들어졌으며 미야자키 하야오의 대표적인 작품 중 하나입니다.
그리고 아마도 많은 분이 이 작품을 보셨을 거라고 생각을 합니다.
하지만, 저 같은 경우 이 애니메이션을 보게 된 것은 않았습니다.
그래서인지 이 애니메이션을 보면 동물과 교감을 하는 부분에서 왠지 모르게 영화 아바타가 생각나기도 했습니다.
아바타 역시 자연에 소중함에 대한 내용이 있기 때문입니다.
그럼 이 애니메이션의 스토리를 잠시 살펴보면 거대 산업 문명이 붕괴한 지 1000년이 지난 지구로 유독한 장기를 내뿜는 부해의 숲이 확장되면서 인류의 생존을 위협하고 그것을 피해 바닷바람이 닫는 바람계곡에서 자연과 교감을 할수 있는 나우시카의 이야기로 시작됩니다.
어느 날 바람계곡에 트로메키아의 비행정이 추락하고 추락한 비행정에서 지구를 불태워버렸던 거신병의 알을 발견하게 됩니다.
그리고 거신병을 가지고 새로운 문명을 만들려고 한 트로메키아는 바람계곡을 점령하고 나우시카를 인질로 데려가게 됩니다.
그 뒤 트로메키아는 비행정은 돌아가던 중 아르벨의 건쉽에 공격을 받게 되게 추락을 하게 되고 나우시카는 아르벨을 구하려다 부해의 밑바닥에 떨어지게 됩니다.
하지만, 여기서 나우시카가 보게 된 것은 부해가 지구를 오염시키는 게 아니라 인류가 오염시킨 물과 토양을 정화하고 있다는 것을 보게 됩니다.
한편, 페지테의 사람들은 트로메키아와 싸우려고 새끼 오무를 이용해 바람계곡에 오무를 유인하게 됩니다.
그리고 인간에 힘으로 억지로 부활시킨 거신병은 힘없이 죽어버리고 나우시카는 분노한 오무로부터 바람계곡을 지키려고 몸을 던지게 됩니다.
그 뒤 나우시카로 인해 분노가 가라앉은 오무는 다친 나우시카를 고쳐주고 숲으로 돌아가게 됩니다.
이 애니메이션을 보며 위에서 말했듯 자연에 대한 교감과 소중함에 대한 내용이 있어서 그런지 아바타가 생각이 났었습니다.
그리고 부해의 숲이 인간을 거부하게 된 것은 인간이 발전이라는 이유로 자연을 너무 파괴해서 이런 인간의 출입을 금지하기 위해 독기를 가지게 된 것이 아닌가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리고 인간으로 인해 오염되어버린 지구를 정화하는 부해의 숲을 보며 자연의 힘이 얼마나 위대한지를 설명하는 했다고 생각을 합니다.
실제 사람들이 사라진 도시는 아주 빠르게 자연과 동화되어 가기 때문입니다.
지금 우리는 발전이라는 명목 아래 자연을 파괴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자연에서 더불어 사는 원주민은 야만인 취급도 하기도 합니다. 그래서 이런 자연이 얼마나 무섭고 소중한지를 그리고 자연은 파괴하는 게 아니라 그 안에서 살아가야 한다고 애니메이션으로 나타내고 있다고 생각을 합니다.